맨위로가기

제단자리 베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단자리 베타는 제단자리에 있는 별로, K0/1 Ib의 스펙트럼을 가지며 초거성으로 분류된다. 약 5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현재 태양의 141배 크기로 팽창했고, 5,800배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4,200 켈빈의 유효 온도에서 오렌지색을 띠며, 5 km/s의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원소의 함량은 태양의 3배 이상이다.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베타 제단자리로 불리며, 바사트-울-젬레, 杵三 등의 다른 명칭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형 초거성 - 고물자리 파이
    고물자리 파이는 호시 별자리의 별 중 하나로, 적색 초거성으로 진화했으며 태양 질량의 2.5배에 달하는 반성을 가지고 있고, 산개 성단 콜린더 135에 속해 성단 내 다른 별들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 K형 초거성 - 궁수자리 뉴2
  • K형 밝은 거성 - 알파드
    알파드는 바다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외로운 자'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거성이자 바륨이 과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며, 동아시아 별자리, 브라질 국기, 토요타 미니밴 이름 등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K형 밝은 거성 - 다비흐
    다비흐는 '살육자'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한 염소자리 베타별로, 기에디라고도 불리며 최소 5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진 복잡한 항성계이자 다비흐 메이저, 다비흐 마이너로 나뉘고 동양에서는 소 별자리에 해당한다.
  • 제단자리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제단자리 - HD 150136
    HD 150136은 뱀주인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2.6일 주기로 공전하는 O3 및 O6 분광형의 주계열성 분광쌍성을 주성으로 가지며 엑스선 방출량이 높고 숨겨진 세 번째 구성원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7개의 시각적 구성 요소와 밝은 동반성 HD 150135가 등재되어 있다.
제단자리 베타
위치
베타 아라에의 위치 (원으로 표시)
베타 아라에의 위치 (원으로 표시)
관측 정보
적경 (J2000)17h 25m 17.989s
적위 (J2000)-55° 31′ 47.574″
겉보기 등급2.84
별자리제단자리
특징
분광형K0/1Ib
B-V 색지수+1.46
U-B 색지수+1.56
변광성 여부알려지지 않음
측성 정보
시선 속도-0.30 ± 0.20 km/s
고유 운동 (적경)−8.51 mas/yr
고유 운동 (적위)−25.24 mas/yr
시차4.5601 mas
시차 오차0.2077 mas
거리218.8+12.0
거리 (광년)713+39
절대 등급-3.494
물리적 특징
질량5.89+0.07 M☉ 또는 7.89+0.4 M☉
반지름141.4+6.6 R☉
광도5,774+535 L☉
표면 온도4,232+17 K
표면 중력0.97+0.06 log g
금속 함량0.5+0.1 [Fe/H]
자전 속도5.4+1.0 km/s
나이50.1+4.4 Myr
식별 정보
다른 명칭CPD-55°8100
FK5 645
HD 157244
HIP 85258
HR 6461
SAO 244725
심바드bet Ara

2. 특징

제단자리 베타는 스펙트럼 분류 K0/1 Ib에 해당하는 초거성이다.[2] 약 5천만 년 전에 형성되어 생애 대부분을 B형 주계열성으로 보낸 후,[2] 현재는 태양의 141배 크기로 팽창했으며 태양의 5,800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방출한다. 표면의 유효 온도는 약 4,200,000으로, 이로 인해 K형 별 특유의 오렌지색 빛을 띤다. 회전 속도는 약 5 km/s로 느린 편이며, 금속 함량은 태양의 3배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2. 1. 스펙트럼

제단자리 베타의 스펙트럼은 K0/1 Ib의 별 분류와 일치하며, Ib의 광도 계급 표기는 이 별이 초거성임을 나타낸다. 이 별은 약 5천만 년 된 것으로 추정되며, 생애 대부분을 B형 별로 보냈다.[2] 현재 이 별은 태양 크기의 141배로 팽창했으며, 태양보다 5,800배 더 많은 에너지를 낸다. 제단자리 베타는 4,200 K의 유효 온도에서 외부 껍질로부터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K형 별의 오렌지색을 띤다. 이 팽창한 별은 약 5 km/s의 투영 회전 속도로 느리게 회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원소의 풍부도, 즉 금속 함량은 태양의 3배 이상이다.

2. 2. 진화

제단자리 베타는 약 5천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생애 대부분을 B형 주계열성으로 보냈다.[2] 현재 이 별은 초거성 단계에 있으며, 스펙트럼 분류는 K0/1 Ib에 해당한다. Ib의 광도 계급은 이 별이 초거성임을 나타낸다. 현재 제단자리 베타는 태양 크기의 141배까지 팽창했으며, 태양보다 5,800배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외부 껍질의 유효 온도는 4,200 K이며, 이 온도 때문에 K형 별 특유의 오렌지색 빛을 띤다. 이 팽창한 별은 약 5 km/s의 투영 회전 속도로 비교적 느리게 회전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금속 함량(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원소의 함량)은 태양의 3배 이상이다.

2. 3. 크기 및 광도

현재 이 별은 태양 크기의 141배로 팽창했으며, 5,800배 더 많은 에너지를 낸다.

2. 4. 온도 및 색

제단자리 베타는 4,200,000의 유효 온도에서 외부 껍질로부터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K형 별의 오렌지색을 띤다.

2. 5. 회전 속도

이 팽창한 별은 약 5 km/s의 투영 회전 속도로 느리게 회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2. 6. 금속 함량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원소의 풍부도, 즉 금속 함량은 태양의 3배 이상이다.

3. 명칭

제단자리 베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외에도 여러 항성 목록에 고유 번호로 등재되어 있으며, 드물게 아랍어에서 유래한 '바사트-울-젬레'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杵三|Chǔ sānzho(추산)이라는 이름이 있는데, 이는 '절구의 세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3. 1. 바이어 명명법

제단자리 베타는 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별은 다른 항성 목록에서도 확인되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에서는 HD 157244, 히파르코스 목록에서는 HIP 85258, 밝은 별 목록에서는 HR 6461로 등재되어 있다.

3. 2. 기타 명칭

베타 제단자리는 별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이 외에 다른 명칭으로는 헨리 드레이퍼 목록의 HD 157244, 히파르코스 목록의 HIP 85258, 밝은 별 목록의 HR 6461 등이 있다.

드물게 이 별은 '바사트-울-젬레'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불씨의 중앙"을 의미하는 아랍어 وسط الجمر|wasaṭ al-jamarar를 터키어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별자리는 아랍어로 المجمرة|al-mijmarahar로 불리며, 이는 화로 또는 향로를 의미한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杵|Chǔ중국어, 즉 '절구'는 베타(β), 시그마(σ), 알파(α) 세 별로 이루어진 성군을 지칭한다. 따라서 베타 제단자리의 중국 별 이름은 杵三|Chǔ sān중국어이며, 이는 '절구의 세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3. 3. 어원

이 별은 드물게 바사트-울-젬레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불씨의 중앙"을 의미하는 아랍어 وسط الجمر|와사트 알자마르ara가 터키어화된 표현이다. 이는 제단자리가 아랍어로 화로 또는 향로를 의미하는 المجمرة|알미즈마라ara로 불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杵|추zho(절구)라는 성군이 있는데, 이는 제단자리 베타(β), σ, α 세 별을 가리킨다. 따라서 제단자리 베타의 중국 별 이름은 杵三|추산zho이며, 이는 the Third Star of Pestle|절구의 세 번째 별eng을 의미한다.

3. 4. 중국 별 이름

중국 천문학에서 杵|추중국어(Chǔ)는 절구를 의미하며, β, σ, α 세 별로 이루어진 성군을 가리킨다. 이 성군 내에서 제단자리 베타가 가지는 중국 별 이름은 杵三|추산중국어(Chǔ sān)이며, 이는 '절구의 세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

참조

[1] Gaia EDR3 5922444483103229952
[2] 웹사이트 Beta Arae http://stars.astro.i[...] 2024-05-22
[3]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5-09-27
[4] 서적 輝星星表第5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